[ 고3 / 영어공부 혼자하기 / 모의고사 / 유형분석 / 문제해설 ] 2019년 7월 고3 모의고사 영어 - 40번 요약문 완성

2019. 8. 13. 10:22[영어공부] 수능영어/[고3] 수능 모의 모평

" 2019년 7월 고3 모의고사 영어 - 40번 요약문 완성 "

안녕하세요. 수능 영어 전문가 Miracle English 의 James Choi 입니다. 일주일에 3회 2019년 7월에 치뤄진 고3 모의고사에 대한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안내한 것처럼 이번 포스팅들은 난이도 순서로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즉 정답률이 가장 낮은 문제부터 다루고 있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혹시 먼저 다뤄주면 좋겠다고 생각되는 것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참고해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서 수능과 9월 모평을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유형분석을 통해서 문제별 풀이방식을 연습하고 공부한다면 남은 시간을 통해서 등급향상도 충분히 이룰 수 있습니다!!

 


" 오늘의 문제: 40번 "

오늘 우리가 함께 다룰 문제는 2019년 7월에 치뤄진 고3 모의고사 40번 문제입니다. 

 

완벽하게 한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꼭 먼저 문제를 풀어본 이후에 해설을 봐야 합니다.

 

1907_고3_영어_40.png
0.23MB

혹시 풀지 않고 바로 해설을 보시는 분들이 있다면!! 무조건 문제를 다시 풀어보고 해설을 보세요!! 그렇지 않으면 효과가 반감합니다!!

 

그럼 위에 올려져있는 파일을 통해서 오늘 문제를 먼저 풀어보고 문제해설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2019년 7월 고3 모의고사 영어 40번 - 정답률 & 난이도 "

오늘 다루는 40번 문제는 이번 7월 모의고사에서 2번째로 어려운 문제였습니다.

 

정답률이 25% 밖에 되지 않는 문제였지요. 지난번 31번 문제와도 2%밖에 정답률이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을 통해서 오늘 문제도 난이도가 최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번호별 선택 비율을 통해서도 확인되어집니다.

 

오답인 1번과 3번이 각각 34%와 28%로 도리어 정답보다 많이 선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19년 7월 고3 모의고사 영어 40번 - 단어학습 "

자 그럼 지금부터 40번을 활용한 공부에 들어가봅시다.

 

최상위권 학생들도 수능까지 가장 힘들어 하는 것이 바로 어휘입니다.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어휘공부에 가장 시간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왜 수능까지 어휘를 정복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단기 암기력에 기반을 둔 단순 암기에 의존해서 입니다. 어휘는 유추와 활용을 통해서 온전히 나만의 어휘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다음 4단계 단어학습의 방식을 따라서 공부하세요.

 

1) 지문을 읽으면서 모르는 단어들을 표시하기

2) 사전을 찾아보기 전에 유추를 통해서 해석을 시도하기

3) 사전을 통해서 자신의 해석 점검하기

4) 학습한 단어로 자신만의 문장 만들기

 

하시면서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좀 더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자신만의 문장으로 만들었는데 문장이 올바른지 점검받고 싶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확인해드리겠습니다.

 


" 2019년 7월 고3 모의고사 영어 40번 - 유형별 문제풀이 "

단어 학습이 마무리되었다면 이제 유형별 문제풀이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해당되는 질문을 통해서 문제의 유형을 파악해야 합니다.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렇게 나오는 질문은 주제파악 유형의 요약문 완성 문제에 해당됩니다. 난이도도 높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시간부족으로 인해서 많이 힘들어하는 문제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어떻게 풀이해야 할까요?

 

일반적으로 독해를 공부할 때 가장 좋은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Skimming과 Scanning을 통해서 Note-taking하기

2단계: 주제 찾기

3단계: 글의 내용의 3분의 1이나 4분의 1정도로 요약하기

4단계: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 영작하기

 

이러한 방식으로 항상 공부를 해 온 학생들은 40번 요약문완성 문제를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하루에 한 지문이라도 위의 방식으로 공부를 시도해본다면 많은 변화를 느낄 수 있을거에요.

 

그렇다면 요약문완성 문제의 유형별 문제풀이 방식은 어떻게 될까요? 다음과 같습니다.

 

1) 요약문을 읽으면서 내용 유추하기

2) 글을 2개의 부분으로 나눠서 분석 및 요약하기

3) 요약한 내용과 일치하는 어휘 선택하기

4) 정답 선택하기

 

요약문을 통해서 글의 내용을 유추하고 빈칸 2개가 각각 내용의 2 부분을 나타내기에 그에 대해서 분석 및 요약을 진행하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는 자신의 분석 및 요약과 일치하는 어휘를 선택해서 정답을 선택하면 됩니다.


" 2019년 7월 고3 모의고사 영어 40번 문제풀이 - 내용유추하기 "

< 해당 지문 >
- The data of the research above [ contradict / confirm / disprove ] the expectation


< 해석 >
- 위의 연구자료는 예상을 [ 반박한다 / 환인해준다 / 틀렸음을 입증한다 ]

자 그럼 어느정도 유형별 문제풀이 방식이 이해가 되셨을테니 직접 문제에 적용해서 풀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위의 요약문장을 통해서 우선적으로 어떠한 예상에 대한 연구자료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예상이 일치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확인해주는 글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해당지문 >
- ... that, in basketball shooting, success is more likely to be followed by [ distraction / success / error / confidence / satisfaction ].


< 해석 >
- 농구 슈팅에서 [ 산만함 / 성공 / 실수 / 자신감 / 만족감 ]이 뒤따를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이다.

요약문의 뒷 부분을 통해서 이 글이 농구 슈팅에 대한 예상을 연구한 글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같은 방식을 통해서 우리는 요약문을 통해서 이 글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의 내용 >
농구슈팅에 대한 예상의 일치여부 판단

" 2019년 7월 고3 모의고사 영어 40번 문제풀이 - 분석 및 요약 "

< 해당 지문 >
- To find out whether basketball players shoot in streaks, researchers obtained the shooting records of the Philadelphia 76ers during the 1980-81 season.
- The 76ers are the only team who keep records of the order in which a player's hits and misses occurred, rather than simple totals.
- The researcher then analyzed these data to determine whether players' hits tended to cluster together more than one would expect by chance.


< 해석 >
- 농구 선수들이 연속으로 슛을 넣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연구자들은 1980-81 시즌 동안 Philadelphia 76ers의 슈팅 기록을 입수했다.
- 76ers는 단순한 총 개수 대신, 선수의 명중과 실패가 일어난 '순서'를 기록해 둔 유일한 팀이다.
- 그리고 나서 연구자들은 누군가가 우연히 예상하는 것보다 선수들의 명중이 더 많이 한꺼번에 몰아서 일어나는 경향이 있는지 밝혀내기 위해 이 자료를 분석했다.

이제는 글이 두 부분으로 나눠지는 부분을 분석해서 나누고 각 부분에 대해서 요약을 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를 통해서 우리는 우리 스스로 요약문과 같은 내용을 요약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를 요약문과 이후에 비교하면 됩니다.

 

글의 앞부분에서 Philadelphi 76ers 의 1980-81 시즌 경기 기록을 통해서 골 성공률에 대한 연속성에 대한 예상에 대한 연구자들이 검증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이 요약문에서 (B)가 포함된 내용에 대한 이야기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해당 지문 >

- Contrary to the expectations expressed by the researchers' sample of fans, players were not more likely to make a shot after making their last one, two, or three shots than after missing their last one, two, or three shots.
- In fact, there was a slight tendency for players to shoot better after missing their last shot. ... (후략)

< 해석 >

- 연구자들의 표본으로 뽑힌 팬들에 의해 나타난 예상과는 반대로, 선수들이 슛을 한 번, 두 번, 또는 세 번 성공한 후에 슛을 넣을 가능성은 슛을 한 번, 두 번, 또는 세 번 실패한 후보다 더 높지 않았다.

- 실제로는 선수들이 슛을 실패한 후에 슛을 더 잘하는 경향이 약간 있었다. ... (후략)

그리고 글의 중반부 이후부터 나오는 부분을 통해서 이전 골 이후에 연속적인 골 성공에 대한 예상이 입증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통해서 요약문에서 (A) 부분에 해당되는 내용의 이야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19년 7월 고3 모의고사 영어 40번 문제풀이 - 일치하는 어휘 선택 "

 

이제 위에서 분석하고 요약한 내용을 통해서 요약문의 어휘를 선택해서 요약문을 완성해주기만 하면 됩니다.

 

앞에서 예상이 입증되지 못했다는 내용이 나오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글의 내용이 예상을 반박한다 또는 틀렸음을 입증한다로 연결되면 됩니다.

 

따라서 'contradict' 'disprove'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2019년 7월 고3 모의고사 영어 40번 문제풀이 - 내용유추하기 "

이어서 뒤의 (B)의 부분도 연속해서 골이 성공할 확율이 높다라고 예상을 한 것임을 앞의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농구 슈팅에서 성공이 뒤따를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으로 연결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어휘는 'success'만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19년 7월 고3 모의고사 40번 문제풀이 - 정답 선택 "

앞의 단계들을 통해서 contradict success가 모두 선택된 2번을 정답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정답 : 2번 >
(A) contradict
(B) success

오늘 함께 2019년 7월 고3 모의고사 40번 문제를 풀어봤습니다. 이번 모의고사에서 2번째로 어렵다는 문제였지만 저와 함께 유형별 문제풀이 방식에 맞춰서 풀이해보니 어렵지 않게 정답을 선택할 수 있었음을 느낄 수 있었을겁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렇게 유형별 문제풀이 방식으로 연습을 해 간다면 충분히 7월 모의고사보다 더 좋은 결과를 9월 모평과 11월 수능에서 맞이할 수 있을것 입니다.

 

혹시 오늘 문제에서 궁금하신 부분이 있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문의해주세요.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세 번째로 어려웠던 문제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James Choi는 여러분이 영어를 정복하는 그 날까지 항상 함께 하겠습니다!!